안녕하세요. 서울에서 평범하게 지하철을 출퇴근 하고 있는 개미입니다.
출퇴근 및 주말에도 지하철을 이용하다 보니 한달에 6~7만원이 교통비로 나가더라구요.
돈을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다가 지하철 정기권을 발견하였습니다.
우선 지하철 정기권에는 서울 전용과 거리 비례 정기권이 있습니다.
서울 전용은 말 그대로 서울 지하철에서만 승하차 할 수 있는 탑승권이고(일부 경기도권 지하철역 사용 가능)
거리 비례 전용은 지역 상관없이 거리 비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기권입니다.
지하철 전용 정기권 요금 및 구매방법, 현금영수증 등록까지 한번에 알아보겠습니다.
<서울전용 정기권 구매 및 충전>
정기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역무소에서 정기권카드를 구입해야 하며, 현금 2.500원으로만 구매가능합니다.
(카드,계좌이체X)
카드를 구매한 뒤 지하철 내부에 있는 충전기 앞으로 가서, 교통카드 충전(정기권 충전)을 누릅니다.
정기권 카드를 올려 놓으면, 현재 정기권 내역이 나오는데 충전을 눌러줍니다.
현재 내역과 충전할 내역이 나오며, 시작일자를 정할 수 있습니다. 정기권 구매 후 당일 충전 및 당일 사용도 가능하며
만기일자는 시작일로부터 30일로 자동 설정 됩니다.
서울 전용 정기권은 55,000원입니다. (기본운임 1,250원 * 44회)
단순하게 30일동안 44회 이상 이용한다면 이득인데요. 기본운임으로만 따졌을때 44회지, 추가 운임이 붙는 것과
주말에 이용하는 것까지 생각한다면 상당한 이득입니다.
충전도 현금으로 해야합니다.
준비해온 55,000원을 투입하여 충전을 완료하였고, 처음 설정한 사용시작일부터 사용가능합니다.
저는 바로 출근을 해야 하기 때문에 당일로 설정하였습니다.
다음은 서울 전용 정기권이 사용가능한 구간입니다.
신분당선은 사용 불가능하며 경기도에 위치한 3호선 지축역(고양시), 7호선 장암역(의정부시) 등은 서울특별시 주관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서울 전용 정기권 사용구간에 속하게 됩니다. (신분당선 이용시 거리비례 운임권 구매)
승차는 위 나열해놓은 역에서만 가능하며, 하차는 어디에서나 가능합니다.
하지만 서울전용 역 외에서 하차시에는 근처 정기권 사용구간역으로부터 20km당 1회 추가 차감됩니다.
※ 모란역(8호선, 분당수인선) 같은 경우 8호선은 사용구간에 속하지만 분당선은 복정역까진데요.
선릉역(분당선)에서 탑승하여 모란역(분당선)까지 도착 후, 모란역 8호선으로 게이트를 찍고 나오면 정상적으로
정기권 1회만 차감되어 사용 가능합니다.(8호선은 전체구간 이용 가능 때문)
첫 사용입니다. 평소 삼성페이를 써서 실물카드 쓰는걸 적응해야 하지만 교통비 절감할 생각에 기분이 좋네요.
서울정기권은 기본적으로 경기권/인천권은 사용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때는 거리비례 전용권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거리비례 전용권>
거리비례전용권은 동일하게 역무소에서 전용카드를 구입하신 후, 서울전용 충전이 아닌 "운임선택"을 누른 후 단계 설정
하여 구매하시면 되는데요.
각 단계별 운임가능한 거리와 운임비입니다. 평소 자주 사용하는 노선을 확인하여 고르시면 되는데요.
몇 단계를 구매해야할지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서울교통공사에서 제공하는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seoulmetro.co.kr)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요일 선택 평일 토요일 공휴일 시 선택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분 선택 00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
www.seoulmetro.co.kr
출발/도착역을 설정하면 몇단계를 구매해야하는지 나와있는데요. 참고하여 맞는 정기권을 구매하시면 됩니다.
<지하철 정기권 홈택스 현금영수증 등록하기>
홈택스에 로그인 하신 후, 현금영수증 메뉴에서 소비자 발급수단 관리로 들어가줍니다.
정기권 카드 앞면에 주황색으로 적혀 있는 글씨를 입력하신 후, 등록하기를 눌러줍니다.
등록 이후에 실제 사용한 횟수(*1,250)만큼 현금 사용분으로 인정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한달 30일중에 출퇴근 20일, 주말 5일 이용한다고 가정을 해보면
출퇴근 20일 = 54,000원(1,350원 * 2 * 20)
주말 5 일 = 12,500원(1,250원 * 2 * 5)
= 66,500원
넉넉히 잡아도 11,500원은 절약할 수 있겠네요. 심지어 제가 사용하고 있는 신용카드는 교통/통신 청구할인 10%인데
교통도 정기권으로 금액 절약하고, 통신비는 통신비대로 청구할인 받을 수 있어서 월 2만원은 더 절약할 수 있을것 같네요.
주 5일 출퇴근 하시는 분들은 정기권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인하 경제는 어떻게 될까?(부동산, 주식 등) (1) | 2024.06.09 |
---|---|
72의 법칙. 돈이 두 배가 되는 복리의 마술 (1)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