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서
돈의속성 김승호
돈의 속성 독후감성공한 사람이 말해주는 돈의 속성에는 뭐가 있을까? 책 제목을 보고 홀린 듯이 구매해버렸다. 표지에도 돈에 대한 기존의 생각을 과감히 수정한다니,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돈의 고정관념을 깨줄 것만 같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성공한 부자들이 생각하는 돈의 개념과 내가 생각하는 돈의 개념이 어떤 차이가 있을지. 부자처럼 생각해야 부자로 살 수 있기 때문에 열린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 책을 쓴 김승호 회장은 SNOWFOX라는 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비슷한 이름을 한번쯤 들어보지 않았는가? 지하철 역 안에서 볼 수 있는 꽃집말이다. 책 내용에서 김승호 회장이 어떻게 이 꽃집을 생각해낸지 내용이 나와있다. 미국에서는 일반마트나 대형마트에 가면 꽃을 한 송이씩 판매한다고 한다. 미국인들..
-
정보
금리 인하 경제는 어떻게 될까?(부동산, 주식 등)
2024년 6월 6일 유럽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4.50%에서 4.25%로 0.25%인하하였는데요. 지난 해 2023년 9월 기준금리가 4.50%로 인상된 이후로 약 9개월만에 처음 인하하였습니다. 사람들은 왜 기준금리 인하에 관심을 가질까요? 아마 기준금리의 변동은 대출, 주식, 부동산 등 우리 경제 전반적으로 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금리를 인하하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1. 기준금리란?2. 기준금리 인하가 미치는 영향 2-1. 예금 및 대출, 소비/투자 2-2. 부동산 2-3. 주식3. 저금리가 무조건 좋은가?4. 마치며.. 1. 기준금리란? 기준금리란 중앙은행에서 정하는 돈의 가격(이자율)입니다. 100원을 빌리는데 1년뒤에 이자로 10원을 준다하면 금리는 ..
-
주식
S&P 500 국내상장 해외 ETF 세금 종류 해외상장 ETF 완벽 비교
S&P 500 ETF는 예적금에는 넣기 싫고, 개별 주식을 사기에는 종목 찾아보고 알아보기는 귀찮고 수익률은 어느정도 내고 싶은 분들에게 딱인 투자인데요. 사실 말이 이렇지 워렌 버핏도 "자신이 죽은 뒤 총 자산의 90%를 S&P 500에 투자하라" 라고 아내에게 유언할 만큼 S&P 500은 1931년 출시 이후로 연평균 10%의 수익률을 달성한 지수입니다. 오늘은 S&P 500 ETF중에서 국내에서 상장된 해외 ETF와 해외에서 상장된 ETF가 있는데 각각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크게는 세금 측면, 작게는 운용 보수나 자산 규모, 거래량 등 위주로 알아보겠습니다. S&P 500 지수에 대해 알아보고 싶으시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S&P 500 지수, 주식 잘 모르면 이거 사라는데 맞아? ..
-
주식
S&P 500 ETF 투자 수익률, 월 50씩 10년 동안 투자한다면 실제 수익률은?
오늘은 S&P 500 ETF를 월 50씩 10년 동안 투자한다면 실 수익률은 얼마일지 알아보겠습니다. 인터넷에 보면 S&P 500 ETF에 투자만 하면 3년 동안 수익률 50%을 달성한다거나 적금 대신 ETF을 사라는 등의 글이 많이 퍼져있는데요. 실제 월 50씩 10년 동안 ETF에 투자한다면 실 수익률은 얼마일지 한번 계산해보겠습니다. ETF란? ETF란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인데요.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S&P 500 지수에 대해 자세..
-
정보
72의 법칙. 돈이 두 배가 되는 복리의 마술
상대성 이론을 개발하며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자로 알려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이런 말을 하였습니다. "여덟 번째 세계 불가사의는 바로 복리다. 복리를 이해하는 자는 돈을 벌고 그렇지 못하는 자는 지불하게 될 것이다." 이 말의 뜻은 무엇일까요? 처음에는 작은 자금을 가지고 수익을 내더라도 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재투자하여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다 보면 처음에는 작은 눈덩이지만 굴러 가면 굴러갈 수록 커지듯이 원금과 이자가 가속이 붙어 자산이 늘어난다는 것을 뜻하는데요. 이에 덧붙여서 "복리야말로 인간의 가장 위대한 발명"이라고 하면서 원금을 두 배로 불리는 기간을 복리로 계산하는 이 72의 법칙을 제시하였습니다. 72의 법칙이란? 72의 법칙이란, 복리의 이율로 원금을 두..